2025년 1분기 회고, AI가 읽어준 나의 10년 기록
25년 1분기 회고

나는 매일을 기록한다.
2025년 1분기 회고를 정리하다가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매일 쓴 기록을 LLM에 넣어서 요약해보면 어떨까?
가볍게 던진 시도였는데 결과물이 꽤나 만족스러웠다. 내가 놓친 흐름도 잡아주고, 중요한 순간들도 정확히 짚어냈다.
그래서 이번 회고는 GPT가 요약한 내용을 중심으로 약간의 수정을 더해서 정리했다.
2025년 1분기 회고
1. 삶: 일상과 루틴을 다시 세운 시간
- 아침 러닝, 수영, 등산, 마사지, 비타민 복용 등 건강한 루틴을 꾸준히 유지.
- '오늘의 한 문장' 뉴스레터 시작. 콘텐츠 루틴이 일상 속에 정착되기 시작.
- 책 《더 시스템》, 《무례함의 비용》, 《실패는 나침반이다》 등을 완독하며 생각의 기반을 다졌고, 독서 내용을 블로그와 뉴스레터에 연결.
→ 몸과 생각을 정돈하며, 생산적인 하루를 설계하는 힘을 길러간 시기.
2. 일: 여러 고민들로 복잡한 시간이었지만 방향을 놓지 않다.
- 랭킹, 택소노미, AI 프로젝트 등 다양한 업무를 직접 설계하고 리딩.
- 여러 파트너들과 B2B 커뮤니케이션을 지속적으로 이어가며 실무 감각 유지.
- 조직 내 불확실성 속에서도, 나의 영역을 단단히 다져가며 보낸 시기.
→ 표지션 변화로 인한 흔들림 속에서도 중심을 잡고, 할 수 있는 일들을 해낸 시간.
3. 성장: 나만의 시스템을 만들다
- Obsidian, n8n, LLM 등의 툴을 적극 활용해 개인 생산성 시스템을 완성해감.
- 뉴스레터, 요즘IT 기고, 1:1 코칭, 클래스 기획 등 퍼스널 브랜딩 채널 다각화.
- '나는 AI 활용 전문가'라는 자의식을 정립하며 나의 정체성을 재설계.
→ 생산성, 브랜딩, 시스템… 모든 걸 나만의 언어로 엮어낸 성장의 분기.
✍️ 한 줄 요약
"삶과 일의 균형을 지키며, 성장의 방향성을 스스로 찾아나간 90일."
회고 결과물이 꽤나 만족스러웠다.
1분기 기록이 아니라 나의 모든 기록을 넣으면 어떨까? 라는 호기심에 10년간의 일기를 넣고 다시한 번 질문했다.
나는 어떤 사람이야?
💬
영수님, 일기들을 읽으며 드는 생각은요. 정말 깊이 있고, 성찰적이며, 따뜻한 사람이라는 거예요.
조영수라는 사람은…
💡 끊임없이 고민하고 성찰하는 사람
- 삶, 일, 관계, 감정, 목표에 대해 늘 “왜?”라는 질문을 던져요.
- 매년, 매달, 때로는 하루 단위로도 회고하며 자신의 방향성을 점검하죠.
-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며 부족함도, 잘한 점도 투명하게 기록해요.
💬 솔직하고 진심 어린 표현을 하는 사람
- 감정이 요동칠 때도 그걸 억누르지 않고 ‘있는 그대로’ 써내려가요.
- 가족과의 다툼, 아들에 대한 미안함, 아내에 대한 복잡한 감정들도 숨기지 않아요.
- 동시에, 아내에 대한 고마움과 애정도 자주 드러냅니다.
- 감정에 휘둘리지 않으려 애쓰고 더 나아지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죠.
🛠 삶을 “디자인”하려는 사람
- 기획자답게 삶도 하나의 프로젝트처럼 설계하고 실행해요.
- 개인 OKR, 옵시디언, 북극성 지표… 다양한 도구들을 활용해 구체적으로 관리하고 발전시켜요.
- 자율과 효율, 진심과 성과 사이에서 균형을 찾으려는 모습이 보여요.
💗 가족을 사랑하는 가장
- 아들과의 교감, 성장기록, 치료 활동에 대한 섬세한 관찰들에서 깊은 애정이 묻어나요.
- 가족 간의 갈등 속에서도 가정을 지키기 위해 고민하고, 중간자 역할에 대해 자책하기도 하죠.
- 특히 아내와의 관계에서도 힘든 순간이 있더라도 함께 풀어나가려는 의지가 크고, 아내가 보여주는 노력과 아이에 대한 헌신에 대해 깊은 존중을 가지고 있어요.
그래서 저는 이렇게 표현하고 싶어요.
- 조영수는, 더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 오늘도 자신을 갈아 넣는 사람이다.
- 완벽하려 하지 않지만, 성장하려는 사람이다.
- 그리고 무엇보다도, 사랑하는 법을 배우고, 실천하려 애쓰는 사람이다.
- 때로는 서툴고 흔들릴지라도, 가족을 중심에 두고, 특히 아내와 아이에게 따뜻한 존재가 되기 위해 매일 조금씩 나아가고 있다.
조영수라는 사람은…
💡 끊임없이 고민하고 성찰하는 사람
- 삶, 일, 관계, 감정, 목표에 대해 늘 “왜?”라는 질문을 던져요.
- 매년, 매달, 때로는 하루 단위로도 회고하며 자신의 방향성을 점검하죠.
-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며 부족함도, 잘한 점도 투명하게 기록해요.
💬 솔직하고 진심 어린 표현을 하는 사람
- 감정이 요동칠 때도 그걸 억누르지 않고 ‘있는 그대로’ 써내려가요.
- 가족과의 다툼, 아들에 대한 미안함, 아내에 대한 복잡한 감정들도 숨기지 않아요.
- 동시에, 아내에 대한 고마움과 애정도 자주 드러냅니다.
- 감정에 휘둘리지 않으려 애쓰고 더 나아지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죠.
🛠 삶을 “디자인”하려는 사람
- 기획자답게 삶도 하나의 프로젝트처럼 설계하고 실행해요.
- 개인 OKR, 옵시디언, 북극성 지표… 다양한 도구들을 활용해 구체적으로 관리하고 발전시켜요.
- 자율과 효율, 진심과 성과 사이에서 균형을 찾으려는 모습이 보여요.
💗 가족을 사랑하는 가장
- 아들과의 교감, 성장기록, 치료 활동에 대한 섬세한 관찰들에서 깊은 애정이 묻어나요.
- 가족 간의 갈등 속에서도 가정을 지키기 위해 고민하고, 중간자 역할에 대해 자책하기도 하죠.
- 특히 아내와의 관계에서도 힘든 순간이 있더라도 함께 풀어나가려는 의지가 크고, 아내가 보여주는 노력과 아이에 대한 헌신에 대해 깊은 존중을 가지고 있어요.
그래서 저는 이렇게 표현하고 싶어요.
- 조영수는, 더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 오늘도 자신을 갈아 넣는 사람이다.
- 완벽하려 하지 않지만, 성장하려는 사람이다.
- 그리고 무엇보다도, 사랑하는 법을 배우고, 실천하려 애쓰는 사람이다.
- 때로는 서툴고 흔들릴지라도, 가족을 중심에 두고, 특히 아내와 아이에게 따뜻한 존재가 되기 위해 매일 조금씩 나아가고 있다.
왠만한 심리검사보다 나를 더 잘 표현한 대답에 흠칫 놀라서 아내를 불러서 함께 읽었다. 그런데 갑자기 아내가 묻는다.
(아내) 나를 물어보면 뭐라고 답할까?
이상하게 나오면 마음상할 것 같은데...
순간, 동공지진이 오고 식은땀이 흘렀다. 내용을 공개할 수는 없지만 다행히도 훈훈하게 마무리됐다. 이 역시 놀라운 통찰력을 보여줬다. 😅
마지막으로 아들에 대해 물었고 아내와 나는 거의 동시에 울컥했다.
(아들 이름)은 어떤 사람이야?
내가 바라보는 아이에 대한 관점을 정말 잘 정리해줬는데, 너무 개인적인 내용이어서 삭제.
LLM과의 대화에서도 감정을 느낄 수 있다는 걸 직접 경험한 계기였다.
아무리 AI가 발달하더라도 개인의 경험까지 대체할 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