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머뭇거림이 만드는 나비 효과 🦋
For product makers: 오늘의 한 문장 #10

🔖
내가 사업 세계에 뛰어든 초반에 배운 교훈 하나는, 대규모 조직에서 모종의 계획을 추진하려고 할 때 어떤 한 사람 때문에 전체 프로젝트가 지연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는 사실이다.
가령 엔지니어가 결정된 지시 사항이 떨어지길 기다리느라 시간을 흘려보내거나, 관리자에게 중요한 구매를 결정할 권한이 없어서 계획 추진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
얼핏 사소해 보이는 이런 작은 머뭇거림 때문에 결과적으로 전체 프로젝트가 심각하게 지연된다.
- <하드씽> 벤 호로위츠
가령 엔지니어가 결정된 지시 사항이 떨어지길 기다리느라 시간을 흘려보내거나, 관리자에게 중요한 구매를 결정할 권한이 없어서 계획 추진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
얼핏 사소해 보이는 이런 작은 머뭇거림 때문에 결과적으로 전체 프로젝트가 심각하게 지연된다.
- <하드씽> 벤 호로위츠
제품을 개발하다 보면 예상보다 시간이 더 걸리거나, 시장 출시가 지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원인을 분석해 보면 한 사람의 의사결정 지연이 도미노처럼 전체 흐름을 멈춰 세우는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 엔지니어는 PM의 확답을 기다리느라 손을 놓고 있고,
- 구매 담당자는 승인권자가 부재해 발주를 못 하고,
- 디자이너는 피드백이 늦어져 다음 단계를 시작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집니다.
벤 호로위츠가 지적했듯이 대규모 조직에서 이러한 '머뭇거림'은 흔히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한 사람이 결정을 미루면, 그 한 조각이 빠진 채 전체 퍼즐이 멈춰버리고, 결국 프로젝트는 몇 주, 심지어 몇 달씩 지연될 수도 있습니다. 이런 작은 걸림돌들이 쌓이면 프로젝트 전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해결책은 명확한 의사결정 체계와 권한 위임에 있습니다.
팀원들에게 적절한 권한을 부여하고, 신속한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확립해야 합니다. 모든 결정이 완벽할 순 없지만, 늦은 결정으로 인한 기회비용은 때로는 잘못된 결정보다 더 큰 손실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